
				
                수원시, 늦가을 도시 건축물과 경관의 아름다움을 즐겨요! 
                
            
        
				
                진안군, 7080 감성 더한 가을 마이산 ‘7080 감성축제 
                
            
        
				
                물억새 은빛 물결 향연, 김해 화포천으로 떠나볼까! 
                
            
        
				
                서초구, 전통말과 AI 로봇말의 만남! 양재 말죽거리 축제 개
                
            
        
				
                평창군, 산지에서 바로 담그는 김장! 고랭지김장축제11. 5~
                
            
        
				
                가을 정취 담은 국화의 향연,  서산국화축제 7일 개막
                
            
        
				
                고흥군, 역대급 흥행예감, 고흥유자축제 11월 6일 개막
                
            
        
				
                제5회 고흥유자축제 야간경관 사전 개방
                
            
        
				
                동해시, 무릉별유천지 30퍼센트 할인 이벤트 추진
                
            
        
				
                부천 루미나래 정식 개장…‘빛이 그리는 무릉도원의 밤’
                
            
        
‘요우커’는 여객(旅客)의 중국식 발음으로, 근래에 이르러서는 중국인 관광객들을 통칭하는 말로 요우커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신문에서도, 뉴스에서도 중국인 관광객들을 요우커라 칭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다른 방한 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그저 ‘중국인 관광객’이라 불렸던 이들이 왜 요우커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일까.

중국인이 우리나라를 여행지로 택한 것이 근래에만 있었던 일이 아님에도, 중국인만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것이 아닌데도 특별히 ‘요우커’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근래에 들어 중국인들의 우리나라 방문이 크게 늘게 된 것이다. 한류 열풍 이후로 요우커들이 꾸준히 증가해왔음에도, 올해 요우커들이 세운 기록은 ‘전년 대비 방문 52.5퍼센트 증가’이다. 그야말로 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다시 보아야 할 정도이다. 
중국과 우리나라는 아주 오래 전부터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이를테면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관계이다. 전 세계에 한류 열풍이 불던 2000년대의 중심에도 중국이 있었다. <대장금>을 통해 자국과 닮은 한국을 발견한 중국인들은 한류 드라마가 가지는 소재의 참신함과 영상의 세련됨에 푹 빠졌다. 중국 드라마의 대부분이 사극인데 반해, 우리나라의 드라마는 다양한 소재와 영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드라마가 스토리텔링에 있어 갖은 방향으로의 도약을 계속하고 있다고 한들 아름다운 기와지붕과 몸에 밴 예의범절,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한자 등에서 멀어지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것이 왕치산 중공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이야기한 ‘중국보다 앞서 있는, 중국의 전통문화를 승화시킨 핵심과 영혼을 담고 있는 문화’일 것이다.
이제 면세점과 도심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대표 관광지들에는 항상 요우커가 있다. 주요 관광지에는 중국어로 된 안내문이 붙어 있고, 중국어를 능숙하게 할 수 있는 직원이 관광 인력으로 배치되는 모습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중국인들의 시각으로 본 한국이란 익숙함과 새로움이 공존하는 매력적인 문화를 가진 나라다. 한국 속에서 중국의 전통문화, 그리고 중국 대중문화의 미래를 찾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우리 문화를 봄과 동시에 자국의 문화를 본다. 문화로 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요우커들을 언제까지고 쇼핑과 대중문화로 유혹할 수만은 없는 일이다. 이에 <트래블투데이>는 요우커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한국 속의 중국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요우커들은 우리나라에서 놀라고 또 놀란다. 차이나타운과 차이나타운, 중국식으로 꾸며진 중식당의 간판들과 정원에서 한국 속의 중국을 보게 되는 것이다. 오직 문화로 통하는 나라 사이에서만 있을 수 있는 화법이다. 

			                        트래블아이 한마디
			                        요우커들의 방한에 대한 이슈가 날로 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거시적인 대책은 아직 수립되지 않았습니다. 트래블투데이의 생각이 요우커들을 위한 고민들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글 트래블투데이 편집국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진안군, 7080 감성 더한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