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성동구에는 다양한 박물관과 문화 요소들이 있어, 성동구를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공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울숲에서 시작하여 살곶이다리까지 이어지는 이 대표코스는 폭 넓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 해 줄 것이다.
총거리
10.54 km
천안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장항선의 분기역이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 전인 190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화물의 취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광역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천안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장항선의 분기역이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 전인 190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화물의 취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광역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 57-1
연락처1544-7788
산사 선대시 100년관은 현대시 평론가로 유명한 김재홍 교수가 기증한 시 관련 자료 16,000여 점을 백석대학교에 기증하면서 설립된 공간이다. 백석대학교는 김재홍 교수의 뜻에 따라 한국 현대시의 태동기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희귀 시집, 초상 시화, 육필병풍 등의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산사 선대시 100년관은 현대시 평론가로 유명한 김재홍 교수가 기증한 시 관련 자료 16,000여 점을 백석대학교에 기증하면서 설립된 공간이다. 백석대학교는 김재홍 교수의 뜻에 따라 한국 현대시의 태동기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희귀 시집, 초상 시화, 육필병풍 등의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115 백석대학교 창조관 13층
연락처041-550-2631
천안흥타령관은 천안박물관 내에 마련된 전시공간이다. 이곳에는 흥타령 문화와 춤에 관련된 자료가 전시된 춤주제관을 비롯하여 전통주 관련 유물 및 자료가 전시된 전통주관, 전국의 전통명주를 전시한 명주관, 삼국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조주 도구를 살펴볼 수 있는 주기명품관 등이 마련되어 있다.
http://map.naver.com/?dlevel=12&pinType=site&pinId=33127564&x=&y=&enc=b64
천안흥타령관은 천안박물관 내에 마련된 전시공간이다. 이곳에는 흥타령 문화와 춤에 관련된 자료가 전시된 춤주제관을 비롯하여 전통주 관련 유물 및 자료가 전시된 전통주관, 전국의 전통명주를 전시한 명주관, 삼국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조주 도구를 살펴볼 수 있는 주기명품관 등이 마련되어 있다.
http://map.naver.com/?dlevel=12&pinType=site&pinId=33127564&x=&y=&enc=b64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 320-10
연락처041-521-2893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자리한 아우내장터는 조선시대부터 전국의 상인들이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는 시장으로 형성되었다. 이곳은 경상도와 한양을 잇는 길목에 위치하여 인근 지역 장터 가운데 가장 큰 시장으로 이름을 알렸다. 아우내장터에가 가장 유명한 먹거리는 병천순대다.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자리한 아우내장터는 조선시대부터 전국의 상인들이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는 시장으로 형성되었다. 이곳은 경상도와 한양을 잇는 길목에 위치하여 인근 지역 장터 가운데 가장 큰 시장으로 이름을 알렸다. 아우내장터에가 가장 유명한 먹거리는 병천순대다.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연락처1577-3900 (천안시청)
1919년 3월 1일에 벌어진 독립만세운동 시기에 이화 여자 고등 보통학교 1학년생인 유관순은 태극기를 품에 안고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갔다. 그리고 4월 1일에 아우내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한다. 이러한 유관순 열사의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해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부근에 사적지를 조성했다.
1919년 3월 1일에 벌어진 독립만세운동 시기에 이화 여자 고등 보통학교 1학년생인 유관순은 태극기를 품에 안고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갔다. 그리고 4월 1일에 아우내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한다. 이러한 유관순 열사의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해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부근에 사적지를 조성했다.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338-1
연락처041-564-1223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1919년 4월 1일 아우내 만세운동 당시에 일본군에 의해 전소되었다. 지금 볼 수 있는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1991년에 복원된 것이다. 복원된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인근의 봉화지와 함께 사적 230호로 지정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고 있다.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1919년 4월 1일 아우내 만세운동 당시에 일본군에 의해 전소되었다. 지금 볼 수 있는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1991년에 복원된 것이다. 복원된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인근의 봉화지와 함께 사적 230호로 지정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고 있다.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
연락처1577-3900 (천안시청)
천안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장항선의 분기역이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 전인 190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화물의 취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광역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천안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장항선의 분기역이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 전인 190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화물의 취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광역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 57-1
연락처1544-7788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